본문 바로가기

질병치료

Estradiol-E2, Progesterone 검사 임상적 의의

난소 기능 및 호르몬 기능 평가에 사용하는 Estradiol-E2, Progesterone 검사의 임상적 의의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Estradiol-E2 임상적 의의

1. 검사명 : Estradiol-E2

2. 검사목적
- 난소기능 특히 난포 발육상태를 알기 위한 필수검사
- 난소기능 저하, 태반기능저하, estrogen 생성종양의 진단
- 불임의 진단 및 치료, 배란 유발 모니터링(난자 채취 시기의 결정)

3. 임상적의의
- Estrogen의 일종으로 생물학적 활성이 강하다. 성인 여성에서는 난소에서 주로 생성분비되고, 뇌하수체 난포자극 hormone(FSH), 황체hormone(LH)의 분비자극을 받는 동시에 feedback 기구로 이들 자극 hormone이 분비조절에 관여하고 있다.

4. 관련질환 :
- 높은 수치시 의심질환 : Estrogen 생성종양, 난소과잉자극 증후군, 부신피질과형성(남자), 간질환(남자)
- 낮은 수치시 의심질환 : 난소기능 저하증, 태반기능부전

 

[ Estradiol 분비 ]
① 신생아기 ~ 사춘기
-신생아 제대혈중 농도는 모체 혈중 농도처럼 높으나 생후 24시간 이내에 감소되고, 사춘기까지 남녀 모두 낮은 농도를 유지한다. 사춘기에 이르러 여자는 급격히 증가하지만 정상적인 월경이 있는 부인에 비해 낮은 농도를 보인다. 이 시기의 E2 농도는 2차 성징발현시기의 이상을 수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② 난소
-E2는 주로 난소에서 분비되기 때문에 E2의 혈중 기초농도를 측정하여 난소장애 정도를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③ 배란 유도 Monitoring
-배란주기 부인의 혈중 E2는 배란기에는 비교적 낮으므로 LH peak 1일 정도 전에 peak를 형성하고 일단 급하게 감소하지만 황체기에 다시 완만한 peak를 형성한다.

④ 임신
-임신중에 태반에서 estrogen이 대량 분비되므로 혈중 E2도 임신 진행과 더불어 증가한다. 말기에는 비임신시의 수백배~수천배에 달한다.

⑤갱년기 및 폐경후
-갱년기가 되면 E2 sugar가 나타나지 않고 난포기 수준의 농도로 비교적 낮은 농도를 보인다. 폐경후 2년 정도까지 서서히 감소한다. 그러나 거세를 한 후에는 바로 감소한다. 갱년기 증상과 혈중 E2농도 사이에는 아주 깊은 관계가 나타난다.

⑥정상남자
-남자 혈중 E2는 소아~난포기 수준의 낮은 농도를 보인다. 간질환에서는 고농도를 보인다는 보고가 있다.

 

Progesterone 임상적 의의

1. 검사명 : Progesterone

2. 검사 목적
- 성 성숙기의 여자에서는 황체의 성숙에 따라 분비가 증가하고 임신중에 태반에서 분비되어
임신황체와 태반의 발육에 따라 혈중농도가 증가하는 데, 수정란 착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혈장 progesterone의 농도는 난소 및 태반 기능의 지표로서 이용

3. 임상적의의
- Progesterone은 여자에서는 난소 특히 항체 및 태반에서 합성 분비되고 임신과 관련하는 hormone이다. 남자에서도 부신 피질이나 고환 조직 내에서 발견되며, 부신 정맥혈이나 말초혈 내에서도 미량이 검출된다. 혈중 progesterone 농도는 난소 및 태반기능의 지표로서 임상에 응용하게 되었다. 7~10일째 최고 농도에 이르고 월경으로 향하면서 감소한다. 수정이 성립되면 황체기의 progesterone peak 형성 시기쯤에서 월경황체는 임신황체로 변화하고 임신 황체는 다시 progesterone 분비를 활성화하여 증가하게 된다. 태반 완성 후(임신 16주말)에 임신 말기로 향하면서 progesterone은 증가한다. 임신 초기에서는 임신 황체기능의 지표로서 융모기능 지표인 융모성 gonadotropin과 함께 동시에 측정하여 절박한 유산을 관리한다. 임신 중기 이후에는 태반기능 평가에 이용한다. 선천성 부신피질과형성 등에서 고농도를 보이므로 진단에 이용한다.

4. 관련질환
- 높은 수치시 의심질환 : 선천성 부신과형성, Cushing 증후군, 신부전, 임신
- 낮은 수치시 의심질환 : 무월경, 배란이상, Addison병, 범하수체기능 저하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