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성 간염은 간을 주로 침번하는 전신적 감염으로 급성, 만성 간질환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이다. 간염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A, B, C, D, E형 간염으로 다섯가지로 구분된다. A형 간염은 6개월 이내에 간염이 없어지는 급성간염으로,만성간염을 일으키지는 않으나, 발병 연령이 증가하고 집단 발병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A형 간염은 5월에 많이 발생하고 증상이 감기와 비슷하고, 초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생명에 위독해질수 있다.
* 특성 : A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A virus, HAV)는 피막이 없으며 27mm크기의 single-strained RNA 바이러스로 감염된 환자의 대변에서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자연적인 숙주는 사람이며 간세포에서 증식하지만 직접적으로 세포변성을 유발하지는 않는다. 대변으로 배출된 후 환경에서 안정적이며 상온에서 최소한 2~4주까지 감염력이 유지된다. A형 간염 바이러스는 단순 유전자형을 가지명, 일단 감염되면 증상이 있건 없건 평생면역이 생긴다
HAV 는 간에서 증식하고 담즙으로 배출되며 대변을 통해 전파되는데, 잠복기는 15일~50일이며, 평균 28일 정도이다.
황달이니 간수치의 상승이 나타니기 2주 전부터 증상발현기까지 전염성이 매우 높으며, 이때 대변에 바이러스가 가장 많이 농축되고, 황달이 나타난 후부터는 대변에서의 바이러스 농도가 떨어진다.
* 감염경로 : 오염된 물, 음식물, 침, 비위생적인 생활, 분변, 익히지 않은 음식
전염성 높아 함께 생활하는 것 만으로도 쉽게 전염된다 -> 집단감염이 많다
단체생활 속에서 쉽게 전파되고 수온이 상승하는 봄철에 바이러스증식으로 봄철 감염이 많다
오염된 물을 섭취한 굴, 조개류-> 조개류 날로 먹은경우-> A형간염 바이러스에 간염
=> 80 ℃ 이상 고온에서 가열하면 사멸됨
* 증상 : 감기, 몸살, 소화불량, 전신무력증, 설사, 식욕부진, 오심, 복부불편감, 발열 등 전구증상이 갑작스럽게 두드러질
수 있다. 드물게 관절염, 두드러기성 발진, 동맥염, 재생불량성빈혈이 나타나기도 한다. 병이 진행되면 소변색이 짙어지고 황달이 시작된다. 간 비종대, 임파선 종대 .선진국에서 A형간염이 급성 전격성 간염을 유발한다.
* 진단 : 급성 A형간염의 진단은 급성기와 초기 회복기에 나타나는 IgM anti-HAV의 검출로 확인할수 있다. IgM anti- HAV은 증상이 나타나기 5~10일전에 나타나서 6개월이 지나면 거의 대부분 사라진다. IgG anti-HAV 역시 감염 초기에 나타나지만 지속적으로 남아있으며 평생동안 감염에 대한 면역을 일으킨다.
황달이 나타나지 않은 대부분의 환자에게서는 급성감염 기간에 ALT와 AST가 상승한다. 전증상기와 전황달기 에 대변에서 HAV가 나타나지만 조직배양에서 동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이러스배양은 하지 않는다.
빌리루빈은 간 효소수치가 최고조로 도달한 후 정점에 도달하고 서서히 감소하여 2개월 내에 대부분 정상화됨
※ 간염바이러스 marker
IgM antibody to HAV (IgM anti-HAV) : 급성간염
IgG antibody to HAV (IgG anti-HAV) : IgM anti-HAV가 나타나지 않으면 과거 감염
* 치료 : 대증요법
고칼로리 식사 (하루중 오후에 오심, 구토증세가 나타나기 때문에 아침에 주요한 칼로리를 섭취하는 것 좋다)
급성기에 구토가 심할 경우 경정맥 영양 시행
담즙 정체와 같이 부작용이 있거나 간에서 대사되는 약물은 피한다.
* 예방 : 손씻기, 익혀먹기->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면 A형간염 예방
면역글로불린을 사용한 수동면역
불활성화 백신 : 적어도 1세 이상에서 접종(12~36개월 사이 소아 대상 전국민 무료접종실시)
'질병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 B형간염 바로알기 (0) | 2021.05.28 |
---|---|
만성 C형간염약제 소발디정 효능 용법 (0) | 2021.05.27 |
C형 간염 치료제 하보니정 효능 용법 (0) | 2021.05.25 |
C형간염 치료제 마비렛정 효능 용법 (0) | 2021.05.24 |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polipoprotein B, Lipoprotein (a) 임상적 의의 (0) | 2021.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