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건강

하임리히법과 소아/영아 심폐소생술 방법

이물에 의한 기도폐쇄를 치료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하임리히법(Hdimlich maneuver)과 영아에서 시행하는 이물 제거방법과 소아, 영아의 심폐소생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하임리히법은 상복부를 흉곽 쪽으로 급격히 압박하는 방법으로 성인이나 어린이 모두에서 이물에 의한 기도폐쇄가 발생한 경우에 초기 시도로써 선호되고 있습니다. 이 방법은 이물이 기도 밖으로 배출되도록 흉곽내의 압력을 증가시키는데 효과적입니다.

 

* 앉거나 서 있는 환자에게서 시행방법

1. 환자 뒤에 서서 환자의 허리 주위를 감싼다

2. 한 손은 주먹을 쥐고 다른 한 손은 주먹 쥔 손을 감싸서 환자의 배꼽과 명치 사이에 위치하게 한다.

3. 환자의 배를 주먹 쥔 손으로 힘껏 누르면서 위쪽으로 당긴다

4. 4~5회를 연속적으로 반복한다.

 

* 누워있는 상태에서 시행방법

1. 환자를 바르게 눕게 한 후 환자의 골반 또는 골반과 다리 사이에 닿도록 무릎을 꿇고 앉는다.

2. 환자의 명치와 배꼽 사이에 한쪽 손바닥을 대고 나머지 손을 첫번째 손의 위에 놓는다.

3. 환자의 배를 누르면서 동시에 상방으로 민다.

4. 4~5회를 연속적으로 반복한다. 

 

영아의 경우에는 복부내 장기가 차지하는 비율이 성인보다 크므로 복부압박시 간장의 손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이물에 의하여 기도가 폐쇄된 영아는 4회정도 가볍게 아기의 등을 두드린후 아기를 뒤집어 흉부를 압박하는 방법을 시행합니다. 아기의 머리가 보통보다 낮게하여 줍니다.

 

* 영아 기본 심폐소생술

 

1. 아이의 한쪽 발바닥을 두드리며 자극에 대한 반응을 확인한다, (얼굴 반응확인)

2. 반응이 없으면 도움을 요청한다, 119 신고

3. 5~10 초 동안 호흡 확인한다. (흉부, 배 확인)

4. 호흡없으면, 두 손가락을 세로로 유두선 바라 아래의 가슴뼈 정중앙에 위치한 후 분당 100~120회 속도 및 가슴 두께의 1/3 깊이로 압박한다

5. 머리기울임-턱 들어올리기 방법으로 기도를 개방한 후 입을 크게 벌려 입고 코를 다 막은후 인공 호흡을 2회 시행한다

    가슴압박 : 인공호흡은  30 : 2 로 시행한다.

 

* 소아 기본 심폐소생술 

 

1. 소아의 양쪽 어깨를 두드리며 자득에 대한 반응을 확인한다.

2. 반응이 없으면 도움을 요청한다 . 119 신고.

3. 5~10 초 동안 호흡 확인한다.

4. 호흡이 없으면 가슴뼈 1/2 아래뽁에 한 손 손바닥 손꿈치로 분단 100~120회 속도, 또는 가슴 두께의 최소 1/3 이상 눌리도록 강하게 압박한다.

5. 머리기울임-턱 들어올리기 방법으로 기도를 개방한 후 코를 막고 입대입 호흡으로 인공 호흡을 2회 시행한다

    가슴압박 : 인공호흡은  30 : 2 로 시행한다.

 

* 영아와 소아에서 심폐소생술이 요구되는 원인

 

1. 기도의 이물 흡인 : 땅콩, 사탕, 작은 장난감

2. 약물 중독

3. 크롭(croup) 또는 후두개염 (epiglottis) 등의 상기도 감염

4. 익수(near-drowning)

5. 급성 영아 사망증후군